본문 바로가기
고조선의 시작-금천씨/배벌과 준단

배벌(倍伐)과 준단(俊坛), 촉국

by 성수록 2024. 3. 23.

◉ 배벌(倍伐)과 준단(俊坛)

금향(金乡)은 순(舜)의 아들 계리(季釐)를 봉한 곳이다. 여기에 민연(缗渊, 산동성 제녕시 금향현 부근)이 있다. 소호(少昊)가 배벌(倍伐)을 낳았는데 배벌이 여기 민연 일대에 옮기여 살았다. 동이족의 왕이였던 소호는 배벌을 민연 일대의 왕으로 봉하였고 이것이 문헌에 기록된 최초의 금향의 왕이다.

<산해경>: "양산(襄山)이 있다. 또 중음의 산(重阴之山)이 있다. 어떤 사람이 짐승을 먹는데 계리(季厘)라고 부른다. 제준(帝俊, 순)이 계리를 낳았기에 계리의 나라라고 한다. 민연이 있다. 소호가 배벌을 낳아 민연에 내려보내 살게 하였다. 사방에 물이 있으며 준단(俊坛)이라 부른다."

<산해경>: "또 서쪽으로 이백리에 장류의 산(长留之山)이 있는데 그 신 백제 소호가 살고있다. ... ... ... 민연이 있는데 소호가 배벌을 낳고 배벌이 민연에 내려가 거처하였다."

◉ 촉국의 개국 왕 배벌

배벌(다른 인물):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촉국(蜀国)의 개국 왕이다. 망제(望帝)라 부르기도 한다. 전하는데 의하면 촉국을 다스리다가 서산에 은거하여 두견새(杜鹃鸟)가 되였다고 한다. 망제는 전설중의 옛 촉국 왕 두우(杜宇)이다. 서주(西周) 초에 촉왕 두우는 스스로 제를 칭하고 호를 망제로 하였다. 두우는 재위 기간에 수도를 비읍(郫邑, 사천성 성도시 비현<郫县>)으로 옮기고 백성에게 경작을 가르치고 강토를 넓히여 촉국이 서남지구의 대국으로 되게 하였다.

<촉왕본기>: "촉왕의 조상을 잠총(蚕丛)이라 불렀는데 그 후대를 백호(柏濩)라 불렀고 백호의 후대를 어부(鱼凫)라 불렀다. 이 3세대가 각 100여세를 살았으며 모두 불사의 신선으로 되였다. 어부도 전산(사천성 팽주시 용문산으로 추정,  四川省成都市彭州市龙门山镇)에서 농사를 지으며 신선으로 되였다. 그 후에 한 남자가 있었는데 이름은 두우라 불렀고 하늘에서 내려왔으며 수시(shu shi, 운남성 소통시, 云南省昭通市)에 머물렀다. 이(利)라 부르는 여자가 있어 두우의 아내로 되였다. 두우는 스스로 촉왕이 되여 호를 망제라고 하였다. 그 때에 옥산에서 홍수가 났는데 망제가 다스리지 못하니 별영(鳖灵)을 보내 다스리게 하여 백성이 안전한 곳에 처하게 하였다. 별영이 치수하는 동안 망제가 그의 아내와 사통하였는데 자신이 한 짓에 수치스러움을 느끼고 별영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떠나버렸다. 별영이 즉위하니 그가 개명제(开明帝)이다."

[g-냐-배벌과 전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