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경융(燕京戎)
최초의 연(燕)은 연경융을 가리킨다. 상나라 말부터 주나라 시기에 활약했던 유목민족이다. 지금의 산서성 흔주시 정락현(静乐县)에서 태원시 첨초평구(尖草坪区) 부근의 분하(汾河) 량안, 산서성 진중시 기현(祁县)의 서쪽, 산서성 진중시 개휴시 소성점촌(邬城店村)의 북쪽까지 모두 연경융이 살던 곳이였다.
<죽서기년>: "태정(太丁, 상나라 28대 왕) 2년에 주(周)나라에서 연경융을 토벌했는데 주나라 군사는 크게 패하였다."
<회남자·추형훈>: "분수(汾水)는 연경에서 나온다." 고유(高诱, 동한) 주석: "연경(燕京)은 산 이름이며 태원 분양(汾阳, 산서성 여량시 분양시<汾阳市>)에 있으며 물이 거기서 나온다."
<십삼주지>: "분수는 무주(武州, 산서성 흔주시 신지현<神池县>)에 있는 연경산(燕京山, 흔주시 녕무현<宁武县>의 관잠산<管涔山>)에서 나온다."
<수경>: "분수는 태원 분현의 북쪽에 있는 관잠산에서 나온다." 력도원(郦道元, 북위) 주석 "연경산은 관잠산의 다른 이름이다."
[p-갸-연경 ]

◉ 남연(南燕国)
남연의 땅은 지금의 하남성 신향시 연진현(新乡市延津县)으로 군주의 성은 길(姞)씨이다. 남연국을 세운 시조 백조(伯鯈)는 황제의 후예 길광(吉光, 禺氏, 禺号의 후예)의 후손이다.
당나라 학자 공영달(孔颖达, 574년-648년)이 말하길: "남연국은 성이 길씨이며 황제의 후예이다. 시조는 백조로 나라가 작아 세가가 없고 군주의 호도 알수가 없다." 라고 하였다. 하지만 <좌전>에는 남연이 북연보다 더 일찍 기록되였다. 멸망한 시기는 딱히 알수 없으나 노정공 십년(기원전 500년) 까지는 존재했었다. 왜냐면 <좌전>에 마지막으로 기록한것이 노정공 십년이다.
<좌전·은공 오년>(기원전 718년): 위나라 사람들이 연나라 군대로 정나라를 정벌하였다.
<좌전·선공 삼년>(기원전 606년>: 정문공이 길씨 연나라의 여자 "연길(燕姞)"을 취하였는데 꿈에 연나라 개국 왕 길백조가 나타나 난초꽃을 주었다. 연길이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자란(子兰)"으로 하였는데 이 애가 자라서 정나라 군주 정목공(郑穆公)이 되였다.
<좌전·선공 삼년>에 또 이렇게 기록되여 있다.: 석계가 말하길 " 제가 들은 바로 희씨와 길씨가 결혼하였다는데 그 자손이 반드시 번성할것입니다. 길씨 성은 길한 사람입니다. 후직(주나라 조상)의 원비도 길씨입니다. 공자 란이 길씨의 외손임으로 하늘이 열리여 반드시 군주로 되여 그 후대가 번성할것입니다."
노은공 오년(기원전 718년) 사월, 정나라가 위나라를 침입하였다. 위나라는 연나라 군대로 정나라를 토벌하였다.
노환공 십이년(기원전 700년) 칠월 정해일, 노환공이 송장공과 곡구에서 회맹하였다.
노환공 십삼년(기원전 699년) 이월 기사일, 노나라와 기나라, 정나라가 회맹하여 제나라, 송나라, 위나라, 연나라와 크게 싸웠다. 제, 송, 위, 연이 패하였다.
노환공 십팔년(기원전 694년) 주공 흑견(주환공)이 주장공을 죽이고 자신의 아들 왕자 극을 천자로 세우려 하였다. 신백이 주장왕에게 알려 주장왕이 선수를 쳐 주공 흑견을 죽이니 왕자 극이 연나라로 도망쳤다.
노장공 십구년(기원전 675년) 연나라와 위나라가 주혜왕의 삼촌 왕자 퇴와 함께 주혜왕을 토벌하였다. 주혜왕은 온(温,今河南省温县西南)으로 도망치고 왕자 퇴가 주나라 왕으로 되였다.
노장공 이십년(기원전 674년) 봄에 주혜왕이 정나라에 급함을 알리니 정역공이 군대를 거느리고 왕자 퇴를 쳐서 격퇴하고 연나라 왕 연백중문을 사로잡았다.
남연국이 멸망한후 그 후손들이 나라 이름 연(燕)을 성씨로 하였다.
p-갸-남연

◉ 연나라(燕国 ) - 북연
연나라는 연산(燕山) 부근에 자리잡은 연고로 연국(燕国)이라 불렀다. 최초의 연산(燕山)은 언산(偃山)이라고 불렀으며 연국(燕国)도 언국(偃国)이라고 불렀다. 청동기의 명문에는 언국(匽国)이라고도 적었다. 주나라 왕족이 분봉받은 제후국 중의 하나이며 시조는 주문왕의 서장자 소공(召公)이다. 기원전 1044년 주무왕이 상나라를 멸망한후 동생 희석(姬奭)을 연(燕, 베이징시 방산구 유리하유적<琉璃河遗址>)에 봉하고 연소공(燕召公)이라 하였다. 하지만 소공은 연으로 가지 않고 자신의 큰아들 극(克)을 보내 연의 땅을 관리하게 하고 자신은 수도 호경(镐京, 산서성 서안<西安>)에 남아 계속 주왕실을 보좌하였다.
소공 이후의 제 9대까지 아무 기록도 남아있지 않으며 제 10대 왕 연혜후(燕惠侯, ~기원전 827년) 이후도 시호와 년분은 있으나 이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혜후가 재위하고 있을때 주력왕(周厉王, ~기원전 828년)이 체(彘, 산서성 임분시 곽주시<霍州市>)로 도망가고 주정공(周定公)과 소목공(召穆公)이 함께 집권하였는데 이를 역사상에서 공화원년(共和元年, 기원전 841년)이라고 한다. 기원전 827년 연혜후가 죽자 그의 아들 연리후(燕釐侯, 燕厘侯)가 즉위하였다. 기원전 7세기에 연나라는 기(冀, 하북성)의 북쪽, 요(辽)의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계(蓟)나라를 병탄한후 수도를 계(베이징시)에 세웠다. 후에 산융(山戎)이 선후로 남하하여 정(郑), 연(燕), 제(齐) 등 나라를 공격하였다. 결국 주장왕 3년(기원전 694년)에 연환후(燕桓侯)가 수도를 임역(临易, 하북성 보정시 용성현 고현촌<容城县古贤村>)으로 옮기였다.
기원전 664년 연장공(燕莊公) 때에 산융이 연나라를 대규모로 침공하였는데 연장공은 막아낼수 없어서 제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제환공(齐桓公)이 연나라를 위해 출병하여 산융을 정벌하였는데 북상하는 길목에 있던 고죽(孤竹), 영지(令支), 무종(無終) 등도 동시에 멸망시켰다.
기원전 222년, 연왕 희(喜) 33년, 연나라는 진나라에 의해 멸망하였다.
[p-거-연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