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조선-대하, 숙신/하조선-대하, 숙신

하 주삼(主参)과 대하(大夏), 삼신(参神)

by 성수록 2024. 3. 24.

◉ 하 주삼(夏 主参)과 진(晋)

알백과 실심은 광림속에 같이 거주하였는데 두 형제 사이가 좋지않아 아버지 제 곡이 알백은 상구로 보내고 실심은 대하로 보내여 두 형제를 따로 살게하였다. 실심은 대하(大夏)로 보냈는데 주삼(主参)이라 하였다.

삼허(参墟, 실심<实沈, 主参>의 터)는 삼성(参星)에 대응하는 분야(分野, 구분 된 땅)이다. 지금의 산서, 하남 일대이다.

<좌전>: "당숙(唐叔)이 받았으니 삼허(参虚)에 있다." 두예(杜预, 서진<西晋>)의 주석: "삼허는 실침(实沉, 실심) 이후에 진(晋)의 분야이다."

공영달(孔颖达, 당): "실침 이후에 진의 분야로 예전에 계삼(系参, 주삼<主参>)의 터 지역이므로 삼허라고 부른다."

<구당서>: "삼허도 언젠가는 반드시 진인(真人)이 나타나 실침의 뒤를 이을것이다."

<고금도서집성>: "실심의 터는 진(晋)나라 사람들이 거주하면서 흥하였다. 바로 지금의 산서, 하남 일대이다."

◉ 대하(大夏)의 위치

<사기>: "순(舜)이 규예(妫汭)에 거주하였는데 행동거지를 더욱 조심히 하였다."

<위토지기>: "규주(妫州)에 규수(妫水)가 있는데 발원지는 성안에 있다. 외성에는 순(舜)의 우물이 있고 성의 북쪽에는 역산(历山)이 있으며 산 위에는 사당이 있다."

<상서·요전>: "그리하여 (요<尧>)가 두 딸을 규예에 내려보내 우(순<虞舜>)에게 시집 보내였다."

<구당서>: "수(隋)의 탁군(涿郡) 회융현(怀戎县)은 정관 팔년에 규주로 고치였는데 규수에서 온 이름이다.

<진기세가>: "순이 서민일때 요는 아내와 두 딸과 같이 규예에서 살았다."

<산해경>: "규(妫)는 물 이름이다. 순이 살던곳이다. ... ... ... 순이 서민일때 요는 아내와 두 딸과 같이 규예에서 살았다."

<괄지지>: "상곡(上谷)의 낡은 성은 규주 회융현(怀戎县) 동북쪽 이십리에 있다. 연(燕)의 상곡으로 진(秦)에서 그대로 두었고 한(汉)에서 저양현(沮阳县)으로 하였다."

<수경주>: "청이수(清夷水)가 또 서쪽으로 저양성(沮阳城) 북쪽을 지나는데 진(秦) 때에 상곡군이 다스리였다." 여기서 청이수는 규수하이다.

<사기>: "순은 기주(冀州) 사람으로 규예에서 살았다."

대하의 위치 1. 회래고성(怀来古城), 하북성 장가구시 회래현 관정저수지(官厅水库). 고대의 대하(大夏)는 하북, 산서, 내몽골, 하남의 일부분을 포함하였다. 실심이 대하로 옮겼는데 도읍이 규수의 남쪽에 있었으며 순이 서민일때 살던 곳이다.

회래의 옛 이름은 회융(怀戎)이고 규수는 영정하(永定河) 상유의 지류이다.

회래고성은 실심의 도읍으로 옛 당나라(당요가 세운 나라)가 신하로 되여 실심의 하상(夏商, 주로 대하<大夏>)에 복종하였다. 주(周)나라때에 당숙우를 당나라 땅(실심의 제삼<诸参>에 속한 땅) 에 봉하였고 그 아들 섭(燮)이 뒤를 이은 후 진수(晋水, 산서성 분하<汾河>)의 곁에 자리 잡으며 국호를 진(晋)으로 하였다. 때문에 당숙우가 봉받은 당의 땅은 익성(翼城, 산서성 임분시 익성현)이거나 혹은 하현(夏县, 산서성 운성시 하현)이다.

대하의 위치 2. 태원시 진원구(晋源区). 대하(大夏), 하허(夏墟), 대로(大卤), 태원(太原), 진(晋), 진양(晋阳) 등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던 태원의 여섯 이름 중 어떤 이름은 사라지고 어떤 이름은 지금껏 사용되고있다.

<산서통지>: "태원의 최초 원주민은 헌원 황제의 5세손 실심이다. 실심은 제 곡의 작은 아들이다."

<사기·진시황본기>: "동으로 동해가 있고 북으로 대하를 넘어 업적이 다달으니 신하로 되지 않는 자가 없다."

<사기정의>: "대하는 태원의 진양현(태원시 진원구 고성영촌(古城营村)이다."

<괄지리지>: "대하는 병주(并州, 내몽골, 산서, 하북 등의 부분 지역) 진양과 분주(汾州), 강주(绛州) 등 주이다. 옛날 고신씨의 아들이 살았는데 서쪽으로 강에 인접하였다."

대하의 위치 3. 산서성 운성시 영제시(永济市). 실심이 대하로 옮기였는데 대하의 도읍은 규수의 남쪽에 있다. 규수는 원래 산서성 영제(永济, 산서성 운성시 영제시) 경내에 있는 옛 물의 이름이다. 남북조 이후 옛 반성(潘城, 하북성 탁록현 보대<保岱>)을 순의 도읍이라 주장하면서 옛 반성 중의 작은 내를 규수라고 이름을 고치였다. 이렇게 규수라는 물 이름이 산서성 영제로부터 하북성 탁록으로 이동하게 되였다. 당나라 때에 이르러 규주(순의 도읍)를 청이군(清夷军, 하북성 장가구시 회래현 관정저수지)으로 옮기면서 반성에 있던 규수의 이름도 옮겨져 청이군에 있던 청이수의 이름을 대체하게 된것이다.

대하의 위치 4. 아프간, 이란, 파키스탄 일대. <사기·대완열전>에는 대하가 중앙 아시아의 아프간, 이란, 파키스탄 일대에 있은 옛 나라이름이라고 한다. 대하는 대완(大宛, 우즈벡의 페르가나분지) 서남쪽 이천여리의 규수(妫水,아무다리아강) 남쪽에 있다. 그 토착민들은 성곽과 집이 있으며 대완과 풍속이 같다. 대장은 없고 왕왕 성읍에 소장을 두긴하였다. 군대가 빈약하고 전쟁을 두려워하며 장사에 능하였다.

대월씨(大月氏)가 흉노와 오손(乌孙)에 밀려 서쪽으로 이동하는데 대하에 이르러 공격하였으나 결국 지고 신하로 되여 대하에 복종하였다. 대하는 인구가 백여만호이고 그 도읍을 람시성(蓝市城)이라 불렀는데 시장이 있고 수많은 물건들이 거래되였다. 그 동남쪽에는 신독국(身毒国)이 있었다.

[l-댜-대하의 위치]

◉ 삼신(参神)

삼신은 숙신(肃慎)의 후예인 만족(满族)들의 제사풍속에 속하며 가족 제사중의 중요한 의식에 속한다.

한국 제사 의식 중에도 비슷한 풍속이 있는데 이들이 섬기는것은 삼신(三神)이다. 여기서의 삼신은 환인, 환웅, 단군 등 세명의 성인을 말하며 실심(实沈) 한명에 국한되여 있는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