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

반왕, 신녀와 한족, 한장어족의 기원 ◉반왕절(盘王节)반왕절은 요족(瑶族)의 명절이다. 매년 음력 십월 십육일로 달노절(达努节), 조낭절(祖娘节), 요년(瑶年)이라 부르기도 한다. 광서, 호남, 운남, 귀주, 강서 등에 거주하는 요족들의 전통 명절이다.​​◉반왕전설 첫번째, 한족(汉族), 장족(壮族), 요족(瑶族)달노절의 기원은 이러하다. 천지가 혼탁한 태고시기에 뭇산중에 높이가 같은 보산(宝山)이 서로 마주 보며 솟아있었다. 웅장한 남자같은 좌측 산은 포락서산(布洛西山)이라 불렀고 치마 입은 여자같은 우측 산은 밀락타산(密洛陀山)이라 불렀다. 두 산이 매년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었는데 거의 맞닿을 무렵의 어느날, 하늘에서 천둥소리가 요란하게 울리며 두 산이 동시에 쪼개지며 포락서산에서 남자가 밀락타산에서 여자가 걸어나왔다. 후에 이들 둘은 .. 2024. 3. 24.
제 지와 당요(唐尧), 진(晋)나라 ◉ 제 지(挚)성은 희(姬)씨이고 이름은 지(挚)이며 호는 청양씨(青阳氏)이다. 제 곡(喾)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추자씨(娵訾氏)의 여자 "상의"이다. 제 곡이 죽자 제위를 물려받고 여전히 박(亳)을 도읍으로 하였다. 9년후 나라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여 동생 요에게 제위를 물려주었다. 요가 등극후 그를 고신(高辛)에 봉하였다.​: "제 곡이 진봉씨의 여자를 취하여 방훈을 낳았고 추자씨의 여자를 취하여 지를 낳았다. 제 곡이 죽자 지가 이어받았다. 제 지가 잘하지 못하여 동생 방훈이 이어받았는데 바로 제 요이다.": "제 지의 어머니는 제 곡의 네명의 아내 중 서열이 마지막이였지만 아들 지는 형제 중 맏이였다. 때문에 제위를 물려받았고 이복동생인 방훈을 당후(唐侯)로 봉하였다. 지가 제위한지 9년 능력이 .. 2024. 3. 24.
고신씨(高辛氏)-제 곡, 준(俊) ◉ 제 곡(帝喾), 준(俊)제 곡은 성이 희(姬)씨이고 이름은 준(俊, 夋)이다. 황제의 증손자이고 현효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교극(娇极, 蟜极), 어머니는 악부(握裒)인데 거인의 발자국을 밟아 그를 낳았다. 제 곡은 궁상(穷桑)에서 태여났으며 전욱을 보좌하는데 공이 있어 고신(高辛, 하남성 상구시 수양구 고신진) 에 봉하여졌다. 호는 고신씨(高辛氏)이며 전욱을 이어받아 제위에 올라 박(亳, 하남성 상구시 우성현 곡숙진)에 도읍을 정하였다. ​제곡의 릉은 상구시 유양구(睢阳区) 남쪽 25킬로에 있는 고신진에 있다. 현재 커다란 언덕으로 남아있고 명나라때에 세운 비석 하나가 있다.[k-댜-제 곡 수도,릉]​: "제 곡, 고신씨는 황제의 증손이며 현효의 손자이고 교극의 아들이다. 박에 도읍하였다."​: "제 .. 2024. 3. 24.
자오지-교극(蟜极) ◉교극(蟜极)교극은 성이 희(姬)씨이고 황제의 손자이자 현효(玄嚣)의 아들이며 고신씨(高辛氏) 제 곡(喾)의 아버지이다. 또 요(尧), 계(契, 상나라 시조), 후직(后稷, 주나라 시조)의 조부이다. 아내는 악부(握裒)이다.​: "제 곡은 황제의 증손인데 아버지는 교극이다. 교극의 아버지는 현효이며 현효는 황제의 아들이다. 현효와 교극은 모두 제위에 오르지 않았고 고신씨에 이르러 제위에 올랐다."​: "부친 교극(侨极)이 진봉씨(阵丰氏) 악부를 취하였는데 큰 발자국을 따라 밟고 곡(喾)을 낳았다.​​◉교(侨)씨: "교극은 현효의 아들이다. 제 곡을 낳았다. 그 후에 교씨(侨氏)가 있었다."​: "교씨는 황제의 손자 교극(侨极)의 후예이다." 또 "교(侨)를 교(桥)로도 적는다. 이로 보아 바로 황제에서 .. 2024. 3. 24.
공공씨(共工氏) ◉ 공공씨(共工氏): "염제의 아내는 적수(赤水)의 자식 청요(听訞)이며 염거(炎居)를 낳았고 염거는 절병(节并)을 낳았고 절병은 희기(戏器)를 낳았으며 희기는 축용(祝融)을 낳았는데 축용이 강수(江水)에 내려가 살면서 공공(共工)을 낳았다."​의 주석에 를 인용하여: "공공은 사람 얼굴에 뱀의 몸뚱이며 머리칼은 붉다."라고 하였다.​: "공공씨는 물로 다스리였기에 물로 벼슬아치를 명명하였다."​: "공공이 왕이였을 때 물이 십에 칠, 육지가 십의 삼이였는데 이런 하늘의 기세를 빌어 천하를 공제하였다."​: "옛적에 공공이 전욱과 제왕을 다투었는데 노하여 불주의 산(不周之山)을 건드려 하늘의 기둥이 부러지고 땅을 비끄러맨 끈이 끊어져 하늘은 서북으로 기울어 일월성진이 옮겨가고 땅은 동남쪽이 꺼져들어 빗물.. 2024. 3. 24.
부여(扶余), 부우, 비여 ◉부우의 산(附禺之山): "황제의 아들 창이가 약수에 내려가 살면서 촉산씨(蜀山氏)의 여자를 취하여 제 전욱(颛顼)을 낳았다." 촉(蜀)이 사천성(四川省) 성도 일대에 존재했던 옛 나라 이름이였던 연고로 수많은 역사학가들이 전욱을 사천성과 연결 짓는다. 하지만 약수(若水)의 "약(若)"자는 응당 옛 알타이어에 속하며 그 뜻은 "푸르다." 또는 "검다."의 뜻으로 씌였다. 또 촉산씨의 "촉(蜀)"자도 상나라 때의 갑골문에는 밑변의 "충(虫)"자가 없는데 그 글자 모양은 내몽골 삼성타랍(三星他拉)에서 출토 된 큰 눈알을 가진 옥조각 룡(내몽골자치구 적봉시 옹우특기 옥룡사호) 과 완전히 비슷하다. 때문에 옛 촉산(蜀山)이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에만 국한된것이 아니였다.[i-댜-촉과 옥룡]​: "위(卫, 하남성.. 2024. 3. 24.
부여의 산에 묻힌 고양씨(高阳氏) 전욱 ◉ 고양씨(高阳氏) 전욱(颛顼)전욱은 성이 희(姬)씨이이며 황제의 손자이자 창이(昌意)의 아들이다. 소호(少昊)를 보좌한 공이 있어 고양(高阳, 하남성 기현 고양진)에 봉하여졌으며 때문에 호를 고양씨(高阳氏)라고 하였다. 처음 궁상(穷桑)에 도읍를 정했으나 후에 상구(商丘, 하남성 상구시)로 옮기였다. 전해내려오는 신화전설에 의하면 전욱은 북방을 주관하는 천제(天帝)라고 한다.[i-냐-전욱 도읍]​​◉ 전욱과 한류(韩流), 건황(乾荒): "황제의 아내 뢰조(雷祖, 혹 루조)가 창이를 낳고 창이는 약수에 내려가 살면서 한류를 낳았다. 작자의 여자 아녀를 취하여 전욱을 낳았다.​곽박(량진)은 에 주석을 달때 을 인용해: "창이가 약수에 내려가 살면서 제 건황을 낳았다. ... ... ... 건황이 바로 한류.. 2024. 3. 24.
창이(昌意), 한류(韩流), 흑수(黑水), 약수(若水), 후직(后稷) ◉ 창이(昌意), 한류(韩流)창이는 성이 희(姬)씨이고 황제와 루조(嫘祖, 황제 원비)의 아들이며 제구(帝丘, 하남성 복양)에서 태여났다.​: "유사의 동쪽, 흑수의 서쪽에 조운지국(朝云之国)과 사체지국(司彘之国)이 있다. 황제의 아내 뢰조(雷祖)가 창이를 낳았다. 창이는 약수(若水)에 내려가 살면서 한류(韩流)를 낳았다. 한류는 긴 목, 작은 귀, 사람 얼굴, 돼지 주둥이, 사슴의 몸, 안짱 다리, 돼지 발쪽을 가졌는데 작자(淖子, 혹은 뇨자)의 여자 아녀(阿女)를 취해 제(帝) 전욱(颛顼)을 낳았다.​: "황제가 서릉씨(西陵氏)의 여자 뢰조(雷祖)를 취해 청양, 창이를 낳았다. 창이는 약수에 내려가 살면서 한류를 낳았다." 또 "전욱의 어머니는 탁산씨(浊山氏)의 여자로 이름은 창복(昌仆)이다."​: .. 2024. 3. 23.